Wednesday, December 3, 2008

WCU사업 서울대 독차지..대학들 불만 '고조'







교육과학기술부가 올해 신설한 대규모 대학재정지원사업인 '세계수준의 연구중심대학(이하 WCU)' 사업 최종 선정에서 서울대에만 예산이 집중되자 다른 대학들의 불만이 고조되고 있다.

4일 교과부에 따르면 WCU 사업 선정결과 유형1,2 과제를 합쳐 서울대가 15건으로 가장 많다. 그 외 한국과학기술원 6건, 포스텍 5건, 연세대 성균관대 각 4건, 고려대 3건, 경상대ㆍ이화여대, 한양대 각 2건, 건국대ㆍ경북대ㆍ경희대ㆍ단국대(천안)ㆍ부산대ㆍ서강대ㆍ순천대ㆍ광주과학기술원 각 1건씩이다.

유형1은 해외 학자들을 전일제 교수로 채용해 새 전공.학부를 개설하는 것이고, 유형2는 기존 학과 또는 연구소에 해외학자를 비전일제 교수로 초빙하는 것이다.

지원액으로도 서울대의 독식현상이 두드러진다.

서울대가 317억원으로 뒤를 이은 한국과학기술원(164억원)보다 2배 가까이 차이가 난다. 포스텍 146억원과 성균관대도 116억원에 그쳤고, 나머지 대학들은 100억원이 채 되지 않는다. 일부는 10억원 미만의 지원을 받고 지방대는 거의 선정되지 못했다.

이에 대학들의 불만이 고조되고 있다.

서울소재 S사립대 교수는 "사업 성격 자체가 해외 석학 초빙에 맞춰져 있어서 아무래도 졸업생들이 해외로 많이 진출해 있는 서울대가 가장 유리하지 않겠느냐"며 "처음부터 다른 대학에겐 불리한 사업이었다"고 토로했다.

서울소재 K사립대 교수도 "지금까지도 연구지원 사업은 서울대에 집중돼 왔는데, 이번 정부에 들어 WCU사업을 통해 더욱 심화됐다"며 "연구개발 면에서 다른 대학들은 더욱 불리한 환경에 놓이게 됐다"고 전했다.

또한 이번 사업 선정에서 거의 배제된 지방대의 경우 더욱 강도높은 불만이 제기되고 있다.

일부 대학의 경우 공동 기자회견을 준비하는 등 반발 움직임이 있었으나 교과부가 '추가공고'라는 기회를 제공하면서 조심스러운 모습이다.

지방대의 한 관계자는 "전국단위와 지방단위를 구분해서 평가가 이뤄져야하는 데도 불구하고 일률적으로 똑같은 기준에 의해 평가가 진행돼 지역대학들의 탈락이 상대적으로 많았다"고 비판했다.

정보공개 청구를 한 지방대 교수도 "논문 자기표절 및 중복게재, 심사 과정의 불공정성 등 졸속심사에 따른 온갖 문제점이 불거졌음에도 강행하고 있다"며 "이번 사업이 '바보 코리아'라는 비판을 받은 참여정부의 BK21(Brain Korea)을 닮아가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교과부 관계자는 "이번 사업은 우리 대학들이 세계수준의 대학으로 가기 위해 해외 학자와 국내 대학들의 연결끈을 마련하기 위해 시작한 것"이라며 "아무래도 역량이 있는 대학에 예산이 집중될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서울대 "WCU육성사업 적극 지원"

WCU최종선정 다수 대학 탈락..18개대 지원

교과부 "WCU논문 이중게재 논란 해당 대학 판정 요청"

한밭대, 세계수준 연구중심대학(WCU) 사업 선정

[기자수첩] 세계석학 지적 호기심을 유발하라

노벨상 수상자 등 세계석학 81명 국내대학 초빙

김수희 기자 suheelove@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출처 : 아시아경제]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