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ursday, December 4, 2008

"녹색성장 통해 일자리 12만개 창출"







환경부, 저탄소 기술개발ㆍ시장활성화 4조8000억 지원

상하수도 및 물순환 산업, 폐자원 에너지, 그린카(Green Car), 기상서비스, 친환경 건축 및 하천복원, 생태관광, 헬스케어 산업 등 환경 분야의 신성장 동력 육성을 통해 일자리 12만개, 부가가치 22조원 창출이 기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4일 오전 여의도 전경련 회관에서 환경부, 친환경상품진흥원과 공동으로 우리나라 산업계의 녹색성장 기반을 조성하기 위해 개최한 `국제환경규제 대응 및 그린오션 창출을 위한 국제세미나'에서 이같이 전망됐다.

이날 세미나에서 환경부 이병욱 차관은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해 수처리, 자원ㆍ에너지, 기후, 녹색인프라, 자연복원 등 5대 분야 15개 과제를 선정했고 기술 개발과 시장 활성화를 위해 2012년까지 4조8000억원을 지원할 예정으로 이를 통해 일자리 12만개, 부가가치 22조원 창출은 물론 선진국 수준의 건강한 환경이 조성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토니 크림슨 주한 영국대사관 기후변화팀장은 "영국은 적극적인 기후변화 대응정책을 추진해 2006년에 이미 온실가스를 15.1% 감축해 교토의정서 목표인 12.5%를 초과 달성했다"며 "자원 효율성을 향상시켜 매년 130억 달러를 절약하고 있고 환경산업을 현재 500억 달러 규모로 성장시켰으며 40만명의 고용을 창출하는 등 큰 성과를 내고 있다"고 소개했다.

히로미 모리 국제녹색구매네트워크 사무국장은 일본이 2050년까지 온실가스를 50% 감축하기 위한 구체적 실행전략을 포함한 `쿨 어스(Cool Earth) 50' 프로그램을 추진중이라고 밝히고 "석탄 화력발전소의 이산화탄소 배출량 제로 기술, 원자력 발전, 고효율 저비용 태양발전, 수소 연료화, 극고효율 에너지 등 혁신기술 개발을 통해 신시장 선점을 꾀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날 세미나에서는 삼성전자가 PVC, 할로겐, 비소 등 유해물질을 제거한 기술 개발 및 제품 적용을 통해 시장 선점, 친환경 이미지 향상 등의 성과를 거둔 사례와 함께 일본 기업이 LCD용 PCB의 할로겐-프리(free) 기술을 먼저 개발해 국내 시장에 진출, 국내 기업 시장점유율이 2006년 60%에서 올해 30%로 급락한 사례가 발표됐다.

전경련의 이병욱 상무는 "환경규제 대응을 위해 기업의 친환경적 의식전환과 자율실천 운동, 대체물질 개발 및 생산공정 개선 등 환경기술에 대한 과감한 투자가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박상현기자 psh21@

< Copyrights ⓒ 디지털타임스 & d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박상현

psh21@






[출처 : 디지털타임스]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