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녹색시장이 팽창하고 있다. 풍력·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 시장은 2007년 773억 달러에서 2017년 2545억 달러로 성장할 전망이다.
탄소배출권 시장 규모도 2007년 640억 달러에서 2010년 1500억 달러로 늘어날 것으로 분석된다. 이에 따라 선진국들은 글로벌 그린시장을 장악하기 위해 ‘녹색 무장’을 하고 있다.
미국은 ‘아폴로(Apollo) 프로젝트’를 세우고 대체원료 개발에 나섰다. 10년간 1500억 달러를 투자한다. 일본은 ‘쿨 어스(Cool Earth) 후쿠다 비전’을 마련하고 온실가스 배출량을 2050년까지 현재 대비 50% 감축할 계획이다.
여기엔 100억 달러의 예산이 투입된다. 유럽연합(EU)은 온실가스 감축을 목적으로 ‘셋 플랜(SET PLAN)’을 만들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녹색산업은 아직 출발선 언저리를 맴돈다.
녹색산업 국가지원시스템은 미비하다. 국내 녹색기업의 기술력도 선진국 대비 50~85%에 불과하다. 수입의존도 역시 턱없이 높다. 태양광 산업의 수입의존도는 75%에 이른다. 풍력 산업의 경우 99.6%다. 녹색산업 지원을 위한 정책적 배려가 절실하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녹색산업 육성, 국가의 몫
|
박 단장은 또 “지원단은 산발적으로 활동하던 코트라 해외사업본부·전략마케팅팀·인재유치팀 등의 구심점 역할을 할 것”이라며 “국내 녹색기업은 이를 창구로 기술 습득은 물론 정보교류, 해외진출 가능성까지 타진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총 14명으로 조직된 그린통상지원단은 조환익 코트라 사장의 녹색성장 의지가 반영된 태스크포스팀이다.
조 사장은 이 팀의 명칭까지 직접 지을 정도로 관심을 쏟고 있다. 그린통상지원단의 주요 역할은 ‘CDM’(Clean Development Mechanism·청정개발체제) 프로젝트의 발굴·수주 지원이다. 다소 낯선 개념인 CDM 프로젝트를 이해하기 위해선 온실가스 감축을 먼저 살펴봐야 한다.
2005년 2월 교토의정서가 발효됨에 따라 미국·일본·유럽연합 등 선진국(39개국·한국 제외)은 온실가스 감축목표량을 할당 받았다. 2008~2012년 5년간 연평균 5.2%(1990년 대비)를 감축해야 한다. 주목할 점은 해당 국가의 온실가스 배출량만 감축 대상이 아니라는 것이다.
‘교토의정서’상 온실가스 감축의무가 있는 39개국은 개발도상국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여도 된다. 가령 미국이 줄여야 할 온실가스 배출량이 100이고, 이 중 80을 미국에서 감축했다고 가정해 보자. 20을 더 줄여야 하는데, 이 부족분은 개발도상국의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으로 메울 수 있다.
바로 이것을 CDM 사업이라고 한다. CDM 사업을 진행하면 온실가스 감축 목표량을 채울 수 있을 뿐 아니라 직접 수출효과도 꾀할 수 있다. 코트라에 따르면 개발도상국 CDM 사업은 건당 5000만 달러(평균)의 수출효과가 있다.
녹색기업 자금지원책도 마련
코트라 해외사업개발팀 양국보 팀장은 “우리나라는 아직 온실가스를 감축해야 하는 의무 국가가 아니다”면서도 “하지만 올해 12월 열리는 코펜하겐 회의에서 온실가스 감축 의무 국가에 포함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양 팀장은 이어 “우리도 이제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을 위해 혼신의 힘을 쏟아야 한다”며 “이런 이유로 개발도상국의 CDM 프로젝트를 발굴하는 것은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증가율(%), 자료:그린통상지원단 |
문제는 국내 녹색기업이 CDM 프로젝트를 독자적으로 발굴하기 힘들다는 점이다. 현지 사정에 어둡고 정보습득이 어렵기 때문이다. 그린통상지원단이 CDM 프로젝트 발굴을 지원하겠다고 나선 까닭이다. 이 지원단은 94개에 달하는 해외 KBC(Korea Business Center·일종의 현지 무역관) 네트워크를 활용해 개발도상국의 CDM 프로젝트를 발굴할 계획이다.
그러나 이는 시작일 뿐이다. 그린통상지원단이 CDM 프로젝트를 발굴해도 국내 녹색기업이 이를 수주할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기술력은 물론 자금력도 여의치 않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그린통상지원단은 에너지관리공단·수출입은행과 공조해 국내 녹색기업의 CDM 프로젝트 수주를 지원할 방침이다.
수출입은행은 PF대출을, 에너지관리공단은 관련 기술을 지원한다. 이영선 그린통상지원단 부장은 “CDM 프로젝트 수주·발굴을 위해 전방위 지원 시스템을 구축했다”며 “이를 발판으로 올해 CDM 프로젝트 100건 발굴 및 20건 수주 목표를 달성해 10억 달러 이상의 수출효과를 거두겠다”고 말했다.
그린통상지원단은 국내 녹색기업의 해외 마케팅을 지원하기 위해 국내외 전시·상담회에 11회 참가하고, 시장개척단을 연 3회 파견할 계획이다. 이런 활동으로 녹색산업 동향·기술·기업정보가 들어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환경·에너지 산업동향을 수시로 파악할 계획이다.
박 단장은 “그린통상지원단은 전 세계 정부·유관기관 등 광범위한 네트워크를 활용해 국내 녹색기업의 성장과 해외진출을 적극 지원할 것”이라며 “이를 통해 국내 녹색산업은 대한민국호의 명실상부한 성장동력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녹색산업의 ‘허브’를 꿈꾸는 그린통상지원단, 이들은 지금 국내 기업과 글로벌 그린 시장 사이에 탄탄한 ‘녹색 다리’를 건설하고 있다.
그린통상지원단 역할 ■ 개발도상국 CDM프로젝트 발굴·수주 - 2009년 CDM 프로젝트 100건 발굴 및 20건 수주 목표 ■ 녹색성장산업 해외 마케팅 지원 - 국내외 전시·상담회 참가 11회 - 시장개척단 파견 3회 ■ 동아시아 기후 파트너십 사업 연계 추진 ■ 국내외 녹색성장 정보 허브 구축 - 녹색산업 동향·기술·기술정보 DB 구축 - 산업조사 및 리포트 발간 |
명실상부한 글로벌 그린기술 공유의 장 Green Hub Korea Week 2009 코트라 그린통상지원단은 4월 6~9일 코엑스 인터컨티넨탈 호텔에서 국내외 370여 개 업체가 참가한 가운데 ‘그린 허브 코리아 위크 2009(Green Hub Korea Week 2009)’ 행사를 개최했다. 그린산업 관련 제품·기술의 교역 및 투자를 촉진하는 한편 시장 동향을 공유할 목적으로 연 행사다. 그린통상지원단은 앞으로 이런 행사를 매년 두 차례 개최할 계획이다. 이번 행사 첫날인 6일엔 미국·일본·중국 등의 비즈니스 전략 설명회를 열고, 각국 녹색기업들과 협력 방안을 모색했다. 7일에는 각국 환경 관련 플랜트 발주 기관이 참여하는 ‘글로벌 프로젝트 플라자(GPP)’를 개최해 리비아 워터 프로젝트, EURO 2012 인프라 구축 프로젝트 등 녹색 SOC 사업을 설명했다. 8일엔 환경에너지와 플랜트의 수출·투자 진출 및 유치전략이 소개됐고, 중소기업과 해외 바이어 간 1 대 1 상담도 진행됐다. 또 일본 유력 녹색 에너지 기업 17곳이 참여한 ‘한·일 녹색에너지 기술협력 파트너링 행사’가 열렸다. 이영선 그린통상지원단 부장은 “올해는 한국과 일본 기업만 참여했지만 다음엔 전 세계 모든 국가의 기업으로 대상을 넓힐 계획”이라고 말했다. 마지막 날인 9일엔 제1기 저탄소 녹색성장 전문가 양성 과정 연수가 펼쳐졌다. CDM 및 탄소배출권 거래에 관심 있는 기업 임직원 50명이 참가했다. |
[☞ 이코노미스트 구독신청] [☞ 이코노미스트 기사 구매]
[ⓒ 이코노미스트 & Join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출처 : 이코노미스트]
No comments:
Post a Comment